건강과 재테크 그리고 책

패혈증이란?

이너피스11 2023. 6. 16. 23:46
반응형

패혈증은 굉장히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하나의 증후군(syndrome)입니다. 오늘은 이 패혈증에 대해 전문가와 비전문가 모두 가볍게 읽어볼 수 있는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목차

1. 패혈증이란 무엇인가요? 증상은?

2. 패혈증의 위험성

3. 패혈증을 일으키는 원인 미생물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4. 패혈증은 주로 어떤 질병에 의해 생기나요?

5. 어떤 장기들에 주로 문제가 생기나요?

6. 패혈증에서 장기 기능 장애는 왜 생기나요? (기전)

 

 

패혈증(Sepsis)

1. 패혈증이란 무엇인가요? 증상은?

'OOO가 패혈증으로 사망했다.'라는 말을 매체에서 들어본 적이 있으신가요? 패혈증은 한자로 패할 패(敗), 피 혈(血), 증세 증(症)으로 구성된 단어입니다. 피가 부패하는 증세라는 단어이지요. 영어로는 'Sepsis'라고 부릅니다. 마찬가지로 이 역시 현대 라틴어로 썩음, 부패, 썩는 것을 의미합니다. 피가 썩는다니, 섬뜩하지 않나요? 가장 최근에 발표된 패혈증의 정의를 살펴보겠습니다.

 

패혈증은 생명을 위협하는 장기 기능 장애이며, 이는 감염에 대한 비정상적인 숙주 반응에서 기인한다.
A life-threatening organ dysfunction due to a dysregulated host response to infection.

- 2016 SCCM/ESICM task force (Sepsis-3)

 

패혈증은 하나의 질병(disease)이라기보다는 미생물에 감염됨으로 인해 나타나는 임상적 증후군(syndrome)입니다. 따라서 명확히 정의를 내리는 것이 어려웠습니다. 진단기준을 확립하는 것도 어려웠지요. 1991년 처음 그 정의가 논의되어 발표된 데에 이어, 최근 2016년 학계의 의견을 모아 3번째 정의가 위와 같이 발표되었습니다.

 

패혈증의 증상 

패혈증의 증상은 특정짓기 어렵습니다. 패혈증의 증상은 주된 감염의 위치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지요. 폐렴이 발생한 경우 기침, 가래가 주증상이 될 것이고, 수술 부위의 감염이 있다면 수술 상처에서 화농성 분비물이 나올 수 있을 것입니다. 

그 외 일반적으로 패혈증이 있다면 발열, 오한, 두근거림, 저혈압으로 인한 어지러움, 식은땀, 의식저하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2. 패혈증의 위험성

패혈증은 높은 사망률을 보입니다. 데이터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지만, 패혈증 환자의 10~52%가 사망하게 됩니다. 많게는 2명 중에 1명은 사망한다는 말입니다. 단순한 패혈증 보다는 저혈압을 동반한 패혈성 쇼크 상태일 때 그 사망 위험이 현저하게 증가합니다. 그리고 패혈증에서 회복되어 퇴원하였다고 하더라도, 퇴원 이후 사망 위험과 패혈증 재발의 위험에 노출됩니다. 재입원도 자연스레 발생하게 됩니다.

 

3. 패혈증을 일으키는 원인 미생물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가장 흔하고 대표적인 원인은 우리가 알고 있는 세균입니다. 세균은 그 특성에 따라 크게 그람 양성균, 그람 음성균으로 분류가 되는데요. 해리슨 내과학 교과서에 따르면, 세균이 배양되었던 패혈증 환자의 62%가 그람 음성균(녹농균, 크렙실엘라, 대장균), 47%가 그람 양성균(황색포도상구균, 폐렴구균)이었다 합니다. 진균(곰팡이균) 역시 패혈증을 일으킬 수 있으나 세균보다는 현저히 빈도가 떨어지지요. 우리가 알고 있는 많은 바이러스들 또한 패혈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4. 패혈증은 주로 어떤 질병에 의해 생기나요?

패혈증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질병은 폐렴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패혈증을 진료하는 의사들 중 호흡기내과 의사가 필연적으로 많을 수밖에 없는 이유이지요. 폐렴은 많게는 패혈증 발생의 약 50%까지의 비중을 차지합니다. 다음으로 흔한 원인 질환은 복강 내 감염(담관염, 충수염 등) 그리고 비뇨생식기 감염(신우신염 등)이 있습니다. 

 

5. 어떤 장기들에 주로 문제가 생기나요?

가장 흔하게 영향받는 장기 시스템은 호흡기 계통과 심장혈관 계통입니다. 호흡기 문제는 전형적으로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의 형태로 나타나며, 심혈관 문제는 보통 혈압 저하를 보이는 쇼크상태로 나타납니다. 그리고 신장 기능 역시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요. 급성 신장 손상(Acute kidney injury)이 동반되는 경우, 병원 내 사망의 위험이 6배에서 8배까지 올라가게 됩니다. 그 외 중추신경계(흔히 뇌라고 알고 있죠) 문제는 혼수상태 혹은 섬망으로 나타납니다. 

 

6. 패혈증에서 장기 기능 장애은 왜 생기나요?  - 다소 전문적인 이야기 

Sepsis pathophysiology
출처 : EMBO Mol Med (2020) 12: e10128

 

우리 몸에는 신장, 심장, 폐 등의 장기들이 있고 각자 제 할 일을 하며 사람의 생명을 유지합니다. 외부에서 미생물이 체내에 침입하게 되면 체내의 세포들이 이들을 침략자로 인식하고, 숙주인 우리 사람의 몸에서는 이 침략자를 물리치기 위해 숙주 반응(host response)을 개시하게 됩니다. 이 숙주 반응에는 선천면역(innate immunity) 그리고 후천면역(acquired immunity)이 함께 나타납니다.

 

보통 침임한 세균의 양이 많지 않으면, 대식세포(macrophage)가 주인공이 되고 백혈구(leukocyte)들을 불러 모아 이 세균들을 무찌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패혈증은 감염의 정도가 우리 몸이 정상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단계를 넘어설 때 발생합니다.

 

우리 인체는 세포로 만들어져 있고, 이 세포들이 모여 조직(tissue)를 형성하고, 조직이 모여 장기(organ)를 만듭니다. 장기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원인이자 개념은 조직의 산소화 저하(impaired tissue oxygention)입니다. 여러 염증 반응의 결과, 우리 장기의 조직들이 원하는 만큼의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게 되는 것이지요. 주된 연료인 산소가 부족한 장기의 조직들은 서서히 망가지게 되고, 장기 기능 부전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산소화 저하의 원인을 공급 부족보다는 산소화를 담당하는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장애로 설명하긴 합니다.)

 

진료를 하는 의사들은 이러한 장기 기능 장애를 SOFA score, qSOFA score, NEWS score 등의 점수체계를 통해 정량화하여 평가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마치며 

오늘은 패혈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전문가보다는 비전문가분들을 위해 써보려고 노력하였는데, 용어들이 어렵고 제 능력이 부족해 더 쉽게 쓰지 못한 것 같아 아쉽습니다. 다음에는 의료인을 위한 Sepsis 치료에 대해 posting 해보려 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

Harrison's internal medicine 20e 

The Third International Consensus Definitions for Sepsis and Septic Shock (Sepsis-3)

EMBO Mol Med (2020) 12: e101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