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3

부자가 되기 위한 첫걸음 (feat. 비근로소득 만들기)

오늘은 제가 재테크를 공부하고 실행하는 목적과 방향에 대해 글을 쓰면서 스스로 재정비하고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보려 합니다. 제가 처음으로 경제적 자유에 대한 꿈을 꾼 것은 군의관 시절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그리고 김승호 회장의 '돈의 속성'을 읽으면서 였습니다. 대학을 졸업하고 일을 시작하고 월급을 받기 시작하였던 20대 후반과 30대 초반에는 재테크에 대한 관심과 열망이 없었습니다. 그러다 결혼을 준비하면서 집을 마련해야 했고, 그러면서 투자와 재테크에 대한 필요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우리 가정의 유일한 근로자인 내가 일을 못하는 상황이 생긴다면? 하는 생각도 있었습니다. 근로시간을 줄이고 가족들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싶기도 했습니다. 저와 우리 가족이 조금 더 돈에 구애받지 않는 행복한 ..

부동산 규제지역 현황(투기과열 및 조정지역 등)

(들어가기 전에) 주택 규제 지역은 - 투기지역 / 투기과열지역 / 조정지역 으로 분류됨 - 중요한 것은 아시는 것과 같이 투기과열과 조정지역입니다. 다들 너무나도 잘 아시는 내용입니다만, 부동산 초보인 저는 헷갈릴 때가 있어 다시 한 번 명확히 규제지역 해제 현황을 정리하려 합니다. 2023년 1월 5일을 기준, 부동산 가격 하락 및 거래량 침체로 대거 해제가 이루어졌습니다. 투기지역 (2023년 1월 5일 자정 기준) 용산구 + 강남 3구(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투기과열지역 및 조정지역 (2023년 1월 5일 자정 기준) 용산구 + 강남 3구(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향후 변화가 있다면 업데이트를 해 나가야 하겠습니다만 '대한민국에 남아있는 부동산 규제지역은 서울의 용산구와 강남 3구 뿐이다'를..

소액투자자로서 2023년을 맞이하며.

전례 없는 금리인상이 있었던 2022년이 저물고 2023년이 밝았습니다. 코로나로 인한 경제위기를 틀어막기 위해 금리인하와 양적완화, 정부의 보조금 지급 등의 온갖 수단을 동원해 화폐를 찍어냈던 미국의 연준과 정부는 올 한해 거대한 인플레이션의 역풍을 맞았습니다. 미국 정부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핑계로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의 마비, 탈세계화 흐름 등을 이유로 삼았지만,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의 주범으로 방대한 화폐의 발행과 양적완화를 입을 모아 지적하였습니다. 이 화폐의 발행으로 인해 내가 갖고 있는 돈의 가치는 쪼그라 들었지요.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 연준은 강력한 금리인상과 양적 긴축이라는 두 개의 매서운 칼을 휘두르고 있습니다. 통상 금리 인상이 실물 경제 전반에 영향을 주며 각종 지표들에 반영되기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