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검진 이상 시리즈의 2번째 글을 올립니다.
시간을 따로 내어 어떤 일을 꾸준히 한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닌 것 같습니다.
폐결절이라는 주제가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다루어야 할지 막막했기 때문이기도 한 것 같습니다.
"검진 CT를 촬영했는데 폐결절이 있대요."
웹서핑을 통해 충분히 공부하고 오시는 똑똑한 환자분들이 많으셔서, 이미 어느 정도 지식을 갖고 오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도 의사의 설명을 듣기 전에는 안심할 수 없으니 대부분 상당히 걱정스런 표정을 하고 오십니다. 저도 폐결절, 폐암 등을 검색해 보았더니 꽤나 많은 정보들이 검색이 되는데, 그래도 요즘엔 비교적 정확한 정보가 많은 것 같습니다.
1. 폐결절이란?
폐에 생긴 비정상적인 '혹' 으로 그 크기가 3cm 가 되지 않는 작은 것들을 지칭합니다.
(3cm 가 기준이 된 이유는 잘 모르겠습니다. 연구자들의 편의에 따라 합의한 것이 아닐까 추측해봅니다.)
2. 폐결절은 모두 암이 될 가능성이 높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폐암검진 대상자의 대부분(90%)은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결과를 받아들게 됩니다. 크기가 작거나, 그 모양이 특징적인 양성 결절로 악성 위험도가 1%가 채 되지 않는다고 말입니다. 물론 크기가 크다면 암이 의심된다는 이야기를 들으실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폐결절의 위험도를 분류하는 검진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참고되는 것은 미국에서 고안된 Lung-RADS category 입니다. 조금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3. 폐결절의 분류
Lung-RADS category 는 아주 광범위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폐결절을 분류하여 각각에 맞는 점수를 부여합니다. 각 폐결절이 CT 상에서 보이는 특징과 크기를 기반으로 0점부터 4점까지 점수를 부여합니다. 특징은 고형(solid), 반고형(part solid), 비고형(non solid) 결절로 구분합니다. 크기는 결절의 CT 상 보이는 결절의 장축과 단축의 합을 평균한 크기를 사용합니다.
Lung-RADS 는
1점, 2점 폐결절은 폐암 선별 검사 결과 '음성' 으로 판정합니다. → 거의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3점, 4점 폐결절은 폐암 선별 검사 결과 '양성' 으로 판정합니다. → 걱정스럽다는 이야기입니다.
1점 (Negative, 정상) 악성위험 1% 미만
- 결절이 없거나, 명확한 양성 결절(특징적 석회화를 동반)인 경우
2점 (Benign Appearance or Behavior) 악성위험 1% 미만
- 크기가 작거나, 크기 변화가 없음. 임상적으로 활동성 종양(암)이 될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결절.
3점 (Probably Benign) 악성위험 1-2% 미만
- 아마도 양성일 것으로 보이나, 단기간 추적관찰이 추천되는 경우. 활동성 종양(암)이 될 가능성이 낮은 결절.
4점
4A (Probably Suspicious) 악성위험 5-15% 미만
- 악성이 의심되어 추가 진단적 검사가 권고되는 소견
4B, 4X (Suspicious) 악성위험 15% 이상
- 악성이 의심되어 추가 진단적 검사가 반드시 필요한 소견 (± 조직검사)
나는 어디에 해당할까요?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전문가의 영역이니, 머리 아프다면 넘어가셔도 됩니다.)
대부분의 검진 대상자들은 1, 2점에 해당하며(90%), 3점(5%), 4점(5%) 인 경우는 상대적으로 빈도가 낮습니다. 그래서 결과지를 들고 오시는 대부분의 환자들에게 '괜찮습니다. 걱정하지 마세요.' 라고 말하게 되는 것이지요.
크기는 보통 '처음(baseline) 발견된 경우'와 주기적으로 경과관찰 중 '새롭게(new) 발견된 경우로' 로 구별해 평가합니다.
1점 (Negative, 정상) 악성위험 1% 미만
- 결절이 없는 경우
- 명확한 양성 결절의 특징을 보이는 경우
특징적 석회화 양상이 동반 (complete, central, popcorn, concentric rings)
지방을 포함한 결절
2점 (Benign Appearance or Behavior) 악성위험 1% 미만
1) 고형 결절(Solid nodule)
< 6mm 혹은
< 4mm 이고 새롭게 생긴 경우
2) 반고형결절(Part-solid nodule)
< 6mm
3) 비고형 결절 (Non-solid nodule, GGN)
< 30mm 혹은
≥ 30mm 이지만 이전과 차이가 거의 없는 경우
3점 (Probably Benign) 악성위험 1-2% 미만
1) 고형 결절(Solid nodule)
≥ 6mm, < 8mm 혹은
≥ 4mm, < 6mm 이고 새롭게 생긴 경우
2) 반고형결절(Part-solid nodule)
≥ 6mm & 고형부분의 크기가 < 6mm 혹은
< 6mm 이고 새롭게 생긴 경우
3) 비고형 결절 (Non-solid nodule, GGN)
≥ 30mm 이거나
새로 발견된 GGN 이 있는 경우
4점
4A (Probably Suspicious) 악성위험 5-15% 미만
1) 고형 결절(Solid nodule)
≥ 8mm, < 15mm 혹은
< 8mm 이고 크기가 커진 경우
< 8mm 이고 새롭게 생긴 경우
2) 반고형결절(Part-solid nodule)
≥ 6mm & 고형부분의 크기가 ≥ 6mm, < 8mm 혹은
새롭게 생기거나 크기가 증가한 < 4mm 고형 부분이 있는 경우
3) 기관지 내 결절(Endobronchial nodule)
4B, 4X (Suspicious) 악성위험 15% 이상
1) 고형 결절(Solid nodule)
> 15mm 혹은
≥ 8mm 이고 크기가 커지거나 새롭게 생긴 경우
2) 반고형결절(Part-solid nodule)
고형 부분의 크기가 ≥ 8mm
새롭게 생기거나 크기가 증가한 ≥ 4mm 고형 부분이 있는 경우
4. 폐결절의 향후 계획 -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까?
크기에 따라 1, 2점에 해당하는 결절이 확인된 경우, 1년 뒤 저선량 CT 를 이용해 추적관찰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3점에 해당하는 결절이 확인된 경우, 6개월 뒤 저선량 CT 재확인을 필요로 합니다. 6개월 뒤 촬영하여 크기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악성 가능성을 현저하게 낮게 보게 되므로, 이후부터는 2점에 해당하는 환자와 같이 간주하고 경과를 보게 됩니다.
4점에 해당하는 결절이 확인된 경우, 악성을 염두에 두고 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4A 폐결절의 경우 3개월 뒤 CT를 재촬영하여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권고되며, 병변의 크기나 양상에 따라 바로 조직검사를 위한 상급병원 진료를 권유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4점 중에서도 4B 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안타깝게도 악성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통계적으로는 위험도가 15%를 초과한다고 보기에 (실제 체감하기로는 더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지체없이 조직검사를 위해 상급병원을 방문하시도록 안내드립니다.
5. 폐결절 조직검사 -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가슴벽(흉막)에 근접해 있는 폐결절인 경우에는 크기와 접근 경로가 용이하면 국소 마취 후 CT 유도하에 조직검사를 비교적 간편하게 시행할 수 있습니다. 다만 폐결절이 폐 내부 깊숙히 위치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조직검사가 난해한 경우가 많습니다.
과거에는 기관지내시경을 통한 조직검사가 어려울 경우, 수술적 절제 등을 통한 조직검사가 이루어지곤 했었는데요. 요즘에는 가슴 깊숙히 있는 폐결절까지 직접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기관지내시경 기술들이 개발되어 조직검사를 용이하게 하고 있습니다. 초음파 기관지내시경 폐조직검사 (Radial EBUS), 전자기 유도 네비게이션 기관지경 등의 방법으로 말이지요. 물론 악성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경우에는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하기 위해 바로 수술적 절제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나의 치료 방향에 대해서는 내 검사 결과를 가장 잘 알고 있는 주치의와 상의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주치의 선생님께 여쭈어보고 이에 대한 답을 얻으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 요약 정리
Best : CD 와 판독지를 가지고 호흡기내과 전문의가 있는 병원에 가서 상담한다.
Lung RADS score 기준으로 하면 아래와 같이 진행한다.
크기가 작거나 순해보이면 (1점, 2점) → 1년 간격 CT 촬영하며 경과관찰 !
크기가 애매한 경우에는 (3점) → 6개월 뒤 CT 촬영하며 경과관찰 !
크기가 크거나 악성처럼 보이면 (4점) → 단기간 내 CT 촬영 혹은 조직검사 위한 상급병원 진료 필요 !
(처음 발견된 폐결절을 기준으로)
1, 2점 : 고형 6mm 미만 / 반고형 6mm 미만 / 간유리음영 30mm 미만
3점 : 고형 6mm 이상 8mm 미만 / 반고형 6mm 이상 (고형 부분 6mm 미만) / 간유리음영 30mm 이상
4점 : 고형 8mm 이상 / 반고형 6mm 이상 (고형 부분 6mm 이상) / 기관지내 결절
폐결절에 대해 조금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가장 좋은 것은 폐암 위험을 높여주는 위험인자들을 없애는 것이겠죠? (금연...)
다음에도 유익한 주제로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두들 폐암 검진 대상자(30갑년의 흡연력....)가 되는 일이 없으셨으면 합니다.
Reference) Lung RADS version 1.1
'건강과 재테크 그리고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규제지역 현황(투기과열 및 조정지역 등) (0) | 2023.05.01 |
---|---|
엠폭스(원숭이 두창)에 대하여 (0) | 2023.05.01 |
독감 치료에 대하여 (Feat. 타미플루, 페라미플루) (0) | 2023.01.09 |
소액투자자로서 2023년을 맞이하며. (0) | 2023.01.01 |
[다시 그때로] 2018.05.01 (0) | 2022.10.05 |